728x90
반응형
지난 글에서는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의 종류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부터는 본격적으로 FPG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FPGA는 1984년에 Ross Freeman에 의해 발명되어 1985년에 Xilinx 사에 의해 도입되었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디지털 회로를 구현하는 유명한 수단이 되었다.
FPGA는 configurable logic block(CLB), programmable interconnects, I/O block (IOB)로 구성된다.
ASIC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은 digital systme을 구현하는 하나의 수단이다. 에너지 효율과 성능이 다른 수단과 비교해 가장 좋다.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 번 설계를 올리면 수정할 수 없어 디버깅이 불가능하다.
FPGA는 어느 logic function이든 구현할 수 있지만 ASIC 보다는 덜 효율적이다. 하지만 여러번 수정할 수 있다는 것과 더 저렴하다는 것이 FPGA가 널리 사용되도록 이끌었다.
이제 FPGA의 구조와 종류, 그리고 설계 알고리즘 등을 알아보도록 하자.
728x90
반응형
'Computer > 디지털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리회로] 조합 논리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1) (0) | 2024.06.05 |
---|---|
[FPGA] FPGA Architectures(3): Configurable Logic Block (CLB) (0) | 2024.06.03 |
[FPGA] FPGA Architectures(2): Programming Technologies (0) | 2024.06.03 |
[FPGA]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 PROM, PLA, PAL, CPLD, FPGA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