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9 [ML][Python][Scikit-learn]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1): 정규방정식(normal equation) 선형회귀란?선형 회귀 모델은 다음과 같다. θ를 모델 파라미터라고 한다.이 식을 벡터 형태로 더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런 수학적 notation에 익숙하지 않다면, 선형대수학을 공부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모델을 훈련시킨다는 것은 모델이 훈련 세트에 가장 잘 맞도록 모델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다.여기서는 평균 제곱근 오차를 이용하고자 한다. 평균 제곱근 오차 (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모델로 예측한 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제곱한 것을 모두 더해 평균을 구한 값이다.RMSE는 회귀 문제의 전형적인 성능 지표이다.이를 최소화하는 θ를 찾는 것이 모델 훈련의 목표이다. h에 선형 회귀 모델을 적용시키면 다음과 같은 식이 도출된다. 데이터 생성우선 선형 회귀를 테스트 하.. 2024. 12. 16. [Rosalind] (python) Mortal Fibonacci Rabbits https://rosalind.info/problems/fibd/ ROSALIND | Mortal Fibonacci RabbitsIt appears that your browser has JavaScript disabled. Rosalind requires your browser to be JavaScript enabled. Mortal Fibonacci Rabbits solved by 13295 Wabbit Season Figure 1. A c.1905 photo from Australia of a cart loaded to the hilt with rabbit skins. Firosalind.info 저번 문제와는 다르게 이번에는 토끼의 수명이 있다. 다만 달라진 점은, 낳는 새끼의 수는 항상 1쌍.. 2024. 12. 12. [Rosalind] (python) Rabbits and Recurrence Relations https://rosalind.info/problems/fib/ ROSALIND | Rabbits and Recurrence RelationsIt appears that your browser has JavaScript disabled. Rosalind requires your browser to be JavaScript enabled. Rabbits and Recurrence Relations solved by 32557 Wascally Wabbits Figure 1. The growth of Fibonacci's rabbit population for the first six months.rosalind.info 익숙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dp)를 이용해 풀었다... 2024. 12. 12. [컴퓨터구조] 메모리 계층구조 (Memory Hierarchy) 이번 글 부터는 메모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보통 메모리의 핵심 원리를 설명할 때에는 도서관에 있는 책에 비유한다. 어떤 주제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도서관의 서가에서 관련된 책을 여러 권 뽑아와 책상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그들 중에서 골라 펼쳐 내용을 확인한다. 이렇게 관련된 책들을 책상 위에 여러 권 놓을 수 있다면 매번 책꽃이로 가 책을 골라오는 것에 비해 많은 시간을 아낄 수 있다. 메모리를 설계하는 데에도 똑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한없이 크고 빠른 메모리는 존재하지 않고, 존재하더라도 그 비용이 매우 비싸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느리고 큰 메모리(도서관의 서가)에서 관련된 일부를 빠르고 작은 메모리(책상 위)에 올려 둠으로써 한없이 크고 빠른 메모리와 유사하게 만들어 낸다. 도서관의 서.. 2024. 6. 8. [컴퓨터구조] Pipelining(5): 제어 해저드 (Control Hazard) 이전 글에서는 데이터 해저드에 대해 알아보았다.[컴퓨터구조] Pipelining(4): 데이터 해저드 (Data Hazard) [컴퓨터구조] Pipelining(4): 데이터 해저드 (Data Hazard)파이프라인을 실행하는 데에는 여러 장애가 존재한다. 앞서 파이프라이닝에 대해 설명하며 언급했다싶이 구조적 해저드, 데이터 해저드, 제어 해저드가 존재한다. [컴퓨터구조] Pipelining(1): 파turtle2.tistory.com 데이터 해저드는 산술 연산과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해저드이다. 이번 글에서는 조건부 분기와 관련된 해저드인 제어 해저드(control hazard)에 살펴보도록 하자. 파이프라인이 계속 일을 하기 위해서는 매 클럭마다 명령어가 인출되어야 한다. 하지만 beq 명령어에서 분.. 2024. 6. 7. [Verilog]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DL) 논리 함수는 하드웨어 기술 언어(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DL)로 기술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SystemVerilog와 VHDL이 있다. 본 글에서는 Verilog를 이용해 기술한다. 1. Module모듈(module)은 입력과 출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블록이다. 모듈을 기술하는 형식은 일반적으로 behavioral model과 structural model의 두 가지 방식을 가진다.Behavioral model: 어떤 기능을 하는 지를 명시Structural model: 단순화된 조각들로 모듈을 구축예시를 살펴보자. 다음은 behavioral 기술이다.module sillyfunction (input logic a, b, c, output logic y) ass.. 2024. 6. 6. [논리회로] 순차 논리회로 (Sequential Logic Circuit) (2): Latch 이번 글에서는 SR Latch와 D Latch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1. SR LatchSR Latch는 가장 간단한 순차 논리회로 중 하나이다. 두 개의 cross-coupled NOR gate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 그림에서 NOR gate의 또 다른 하나의 input은 S, R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개의 입력 S, R을 가지고 2개의 출력을 가진다.앞 글에서 살펴본 cross-coupled inverter와 비슷하지만, state가 set(S), reset(R)에 의해 통제된다는 점이 다르다.S(set): 비트를 TRUE 값으로 만든다.R(reset): 비트를 FALSE 값으로 만든다.여기서 비트는 출력 Q의 값을 의미한다.RS 10N1이 적어도 하나의 TRUE 입력값(R)을 받는다.. 2024. 6. 6. [논리회로] 순차 논리회로 (Sequential Logic Circuit) (1) 이전 글까지는 conbimational logic을 어떻게 분석하고 설계하는 지 알아보았다. 이번 글 부터는 sequential logic을 알아볼 것이다. sequential logic은 현재 값에만 의존하는 conbinational logic과는 달리 현재와 이전의 입력 값에 모두 의존한다. 따라서 sequential logic은 메모리를 가진다. sequencital logic에서 상태(state)는 회로의 미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과거의 정보를 가지는 상태 변수(state variables)이라고 불리는 비트의 집합이다. sequential logic은 이전 입력을 기억하거나, state라고 불리는 정보를 추출한다. 메모리의 fundamental building block은 2개의 안정된.. 2024. 6. 6. [논리회로] 조합 논리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3): X, Z bool algebra는 0과 1 두 가지 값으로 한정된다. 하지만 실제 회로에서는 X, Z라는 기호로 표시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값들에 대해 알아보자. 1. X: 금지된 값X는 회로의 노드가 알려지지 않은 값이나 금지된 값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보통 0과 1이 동시에 들어올 때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contention이라고 부르며 오류로 간주되어 반드시 피해야 한다. contention이 발생한 노드의 실제 전합은 0과 V 사이 어딘가에 위치한다. 이 영역은 대부분 금지되어 있다. 또한, contention은 contention이 발생한 게이트(아래 그림에서는 A와 B) 사이에 큰 power flow를 유발한다. 이 때 회로가 뜨거워져 손상을 입게 될 수 있다.X 값은 circuit s.. 2024. 6. 6. [논리회로] 조합 논리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2): boolean equation, boolean algebra Boolean EquationBoolean Equation은 TRUE or FALSE의 변수를 다루는 방정식을 말한다. 따라서 digital logic을 묘사하기에 적절하다. Boolean Equation에서 연산 순서는 매우 중요하다. NOT > AND > OR1. Sum-of-Products formN개 input에 대한 truth table은 2^N개의 행을 가진다. 그리고 각 행은 TRUE가 되는 minterm을 하나씩 가진다. minterm은 모든 input들의 product(곱)의 형태로 나타낸 항이다.모든 truth table에 대해 Y가 TRUE가 되는 행의 minterm을 모두 더해 Boolean equation을 작성할 수 있다. 위의 표에서는 두번째 행(A=0, B=1)일 때의 mi.. 2024. 6. 6.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