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통신] Signal Encoding Techniques,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1): RZ, NRZ
[데이터통신] Signal Encoding Techniques,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1): RZ, NRZ
디지털 신호는 비연속적인 voltage pulses의 sequence를 의미하고, 이 각각의 pulse를 signal element라고 한다.디지털 데이터를 signal element로 매핑하는 것을 encoding scheme이라고 한다. 다양한 encoding scheme에
turtle2.tistory.com
지난 글에서는 RZ, NRZ, bipolar-AMI, pseudoternary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biphas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biphase는 NRZ의 단점을 해결했다고 평가받는다. biphase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Manchester와 Differential Manchester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1. Manchester
비트 사이에 항상 transition이 존재한다. 이 transition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일어나면 비트 0을,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일어나면 비트 1을 의미한다.
매 비트마다 일어나는 transition은 clocking mechanism을 제공한다.

2. Differential Manchester
Manchester와 동일하게 비트 사이에 항상 transition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transition은 Manchester와는 달리 비트의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오직 clocking mechanism만을 제공한다.
Differential Manchester에서는 bit 시작 지점에서의 transition의 존재 여부로 0과 1을 표현한다. transition이 있다면 0, 없으면 1을 의미한다.

Manchester와 Differential Manchester은 많은 장점이 있는 기술이다.
각 비트가 시작될 때, 존재하는 transition으로 비트의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수신기가 synchronization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런 특성으로 biphase codes는 self-clocking code로도 불리운다.
biphase code는 transition이 계속해서 존재하기 때문에 dc component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설명한 예측 가능하다는 특성을 이용해 error detection이 가능하다.
bandwidth이 충분히 좁다는 장점도 있지만, multilevel binary code보다는 비교적 넓은 bandwidth을 갖는다.
'Computer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 Wired LAN Topology: Bus, Star (0) | 2024.05.03 |
---|---|
[데이터통신] Signal Encoding Techniques: data rate와 modulation rate (0) | 2024.04.27 |
[데이터통신] Signal Encoding Techniques,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2): bipolar-AMI, pseudotern (0) | 2024.04.24 |
[데이터통신] Signal Encoding Techniques,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1): RZ, NRZ (0)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