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네트워크

[데이터통신] Signal Encoding Techniques,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2): bipolar-AMI, pseudotern

by 거부기씨 2024. 4. 24.
728x90
반응형

[데이터통신] Signal Encoding Techniques,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1): RZ, NRZ

[데이터통신] Signal Encoding Techniques,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1): RZ, NRZ

디지털 신호는 비연속적인 voltage pulses의 sequence를 의미하고, 이 각각의 pulse를 signal element라고 한다.디지털 데이터를 signal element로 매핑하는 것을 encoding scheme이라고 한다. 다양한 encoding scheme에

turtle2.tistory.com

 
저번 글에서는 RZ와 NRZ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multilevel binary encoding techniques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multilevel binary encoding techniques은 NRZ에서 1 혹은 0이 지속되면 dc component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synchronization capability가 깨질 수 있다는 단점을 보완한다. bipolar-AMI, pseudoternary가 있는데 이들은 각각 2개 이상의 signal level을 사용한다.


1. Bipolar-AMI(Alternate Mark Inversion)

bipolar-AMI에서는 3개의 voltage levels을 사용한다.

  • 0 : zero voltage
  • 1 : +V 또는 -V

1 비트의 경우 (+)와 (-)를 번갈아가며 encoding한다.

 
bipolar-AMI의 경우 NRZ보다 synchronization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net dc component가 없으며, error detection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2. Pseudoternary

bipolar-AMI와 동일하지만, 0과 1의 표현 방식이 서로 반대이다.

  • 0 : +V 또는 -V 
  • 1 : zero voltage

장점 또한 bipolar-AMI와 동일하다.
 
bipolar-AMI와 비교해 특별하게 더 나은 특징은 없다.


 
지금까지 multilevel binary encoding techniques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글에서는 biphase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728x90
반응형